오늘은 아래 기사 관련하여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부동산 불패라는 헤드라인을 작성할 정도로 집값이 상승 전환한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동산 불패인가수도권 주요지역 집값 상승 전환
이번주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상승한 지역이 7개 구로 늘었다. 11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05%) 대비 0.04% 하락해 5주 연속 낙폭이 둔화했다. 이 가운데 강남3구
www.wowtv.co.kr
위 기사 내용의 출처는 한국부동산원에서 게시한 "2023년 5월 8일 기준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입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다운로드하는 방법
한국부동산원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사이트 중간에 "부동산 통계 R-one" 메뉴가 있고, "전국 주택가격동향"을 클릭하면 "부동산 통계 뷰어" 사이트가 새 창으로 열리게 됩니다.
좌측 메뉴에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 주간아파트동향 - 매매가격지수
"공표보고서"를 클릭하시면 하단에 주간아파트 가격동향 파일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표를 보시면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남구의 아파트 가격지수가 전주 대비 0.02%, 0.01%, 0.08%, 0.02% 상승했다는 의미입니다. 아파트 가격지수는 표본아파트를 기준으로 가격을 지수화한 지표이며 21년 6월 28일이 기준주(100)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 표에서 서초구는 21년 6월 28일의 가격보다 현재의 가격이 더 높다는 의미이고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는 낮다는 의미입니다.
국토부 실거래가는 어떨까?
한국부동산원에서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맞춰서 국토부 실거래가를 비교하는 것은 사실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23년3월에 거래된 내역의 평균 평단가와 23년 4월의 평균 평단가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23년 5월 계약건은 표본이 너무 적음)
강남구
강남구 23년 3월과 23년 4월에 거래된 전용면적 84~85 기준으로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3월과 4월에 모두 거래가 발생한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하다보니 표본이 많지가 않습니다. 강남구의 상승률은 전체 평균 0.45%입니다.
서초구
서초구는 평균 4.05% 상승하였습니다. 서초네이처힐3단지가 유독 많이 상승을 했습니다.
송파구
송파구는 평균 1.40% 상승하였습니다.
강동구
강동구는 평균 4.16% 상승하였습니다.
정 리
국토부 실거래 기준 23년 3월~4월에 계약된 전용면적 84~85 거래 평균가격 상승률은 강남구 0.45%, 서초구 4.05%, 송파구 1.40%, 강동구 4.16% 입니다.
반면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지수는 강남구가 전주 대비 0.01%, 서초구 0.02%, 송파구 0.08%, 강동구 0.02%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전주대비 상승분으로 집값 불패라는 말이 적절한가에 대해 의문이 들었고, 거래 기간을 주단위가 아닌 월단위로 확장해봤을 때는 서초구와 강동구가 4% 이상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사 헤드라인은 주목을 끌기 위해 조금 오버한 것 같은데 그래도 서초구, 강동구의 상승이 눈에 띕니다. 4% 상승이 어찌보면 별거 아닐 수 있으나 평균가격이 10억일때 4%이면 4천만원이 한 달 만에 상승했다는 의미이므로 작다고만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갭투자 앞으로 이렇게 됩니다(렘군 유투브 영상 정리) (0) | 2023.05.15 |
---|---|
서울 / 광역시 아파트 거래량 최신현황 정리(23년1월~5월13일) (0) | 2023.05.13 |
서울 아파트 거래량 현황 (2) | 2023.05.09 |
대구 아파트 거래 현황 분석 (0) | 2023.05.08 |
세종 전세 폭락의 진실 (0) | 2023.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