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서울 아파트 거래량 현황

by 시간부자의삶 2023. 5. 9.

최근 부동산 기사를 보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늘고 있다는 기사를 접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서울 아파트 거래량 현황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현황

서울아파트거래량
서울아파트거래량

위 차트는 2006년~23년5월까지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고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차트를 보시면 거래량이 크게 빠지는 구간이 08년 외환위기, 2011년~2012년, 그리고 22년 하반기~23년입니다. 

 

외환위기 때는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급격하게 낮추면서 경제를 살리려는 노력 하였고 부동산 거래도 빠르게 반등한 모습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불과 4개월 사이에 5%가 넘던 기준금리가 2%로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다시 금리를 조금씩 올리다 12년 하반기부터 점차적으로 금리가 하락해 20년에 최저 금리를 찍고, 모두가 아는 것처럼 급격하게 기준금리가 상승한 모습입니다.

기준금리추이
기준금리-추이

23년도의 거래량은 반등을 했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 08년 외환위기 이후 역대급으로 거래량이 없었기 때문에 지난 3월 거래량이 반짝 상승한 수준입니다. 08년도 외환위기가 닥치기 전에 정부가 금리를 많이 올려놨기 때문에 급격한 금리 인하로 경제에 호흡기를 달 수 있었던 것처럼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경제가 버티는 수준에서 금리인상을 해야겠지만 금리를 급격하게 올렸으면 반드시 이후에는 금리 인하가 오게 마련입니다. 금리인하 속도는 예측할 수 없겠지만 만약 경기침체가 온다면 과거와 같이 급격하게 금리가 인하될 가능성도 있다고 봅니다.

 

앞으로 금리라는 변수의 움직임에 따라 거래량도 급반등을 할지 아니면 점진적으로 증가할지가 결정될 것 같습니다. 이는 거시경제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예측하기 힘든 부분이지만, 일단 금리 상단은 어느 정도 정해진 상황이라는 점이 다행입니다.

 

23년 4월, 5월의 거래는 아직 신고가 안된 거래건이 있기 때문에 23년 3월의 거래량보다 늘어날지는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