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부동산

서울 1억 미만 갭투자 가능 아파트 정리

by 시간부자의삶 2023. 4. 3.

23년 1분기 평균매매가와 평균전세가를 집계하여 매전갭 1억 미만인 아파트를 정리하였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다운로드하면 전용면적으로만 표시되기 때문에 평수 환산을 하였고, 31평형~35평형 기준으로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평수 : 전용면적 x 0.3025 x 1.3)

 

1억 미만 갭투자 가능 아파트

서울시-매전갭-1억미만
서울시-매전갭-1억미만

화곡동 서림골드 아파트의 경우 평균매매가는 28평(직거래)과 33평이 4억2천만원이고 전세거래는 27평형이 4억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19세대로 세대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는 아파트는 아닙니다. 심지어 28평형의 경우 최근 매매거래는 23년 2월 24일이지만, 직전 거래는 14년도 3월 18일입니다.

 

신월동 금하뜨라네 32평형 기준 1분기 평균매매가는 2억9천만원이며, 31평형 기준 1분기 전세평균가는 2억6천만원으로 갭은 3천만원 입니다. 위 캡처화면은 23년 2월 28일 전세거래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제가 자료를 작성한 기준은 31평형~35평형 이기 때문에 실제 31평형의 매전갭과 32평형의 매전갭은 3천만원보다 클 수 있습니다.

 

실제 금하뜨라네 아파트 31평형의 매전갭은 1억이며 32평형은 6천만원입니다. 따라서, 위 아파트들은 실제 호갱노노나 아실 등 부동산 사이트에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신대방동 보라매e편한세상 33평형 기준 1분기에 거래건수는 1건 거래가 되었고 직거래로 6억6천500만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저층(2층)이지만 직전 거래가격인 21년 9월 12일 13억8천3백만원에 비하면 거의 반값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직거래로 너무 낮게 매매거래가 형성되다 보니 현재 갭은 4천만원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실제 임장을 해보면 갭 4천으로 아파트를 매수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방화동 삼성꽃마을의 1분기 평균매매가격은 3억9천500만원이며 전세가격은 3억5천만원 입니다. 23년에 매매, 전세 거래는 각 한건씩 거래가 되었습니다. 

 

천호동 우정아파트의 1분기 평균매매가격은 5억500만원이며 23년 2월 13일에 직거래(3층)로 거래되었습니다. 직전 거래(10층)인 22년 4월 28일 6억9천만원에 비하면 많이 낮은 가격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1분기 전세평균가는 4억5천만원으로 23년 2월 13일에 1건 거래되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5호선 굽은다리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네이버 호가 기준 31평형 최저 호가는 7억8천만원 입니다. 23년 2월에 거래된 직거래 가격으로 살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내발산동 신세계5차 아파트는 25세대 아파트로 31평형 1분기 평균매매가격은 5억9,900만원, 평균전세가격은 5억4,000만원 입니다. 

 

기타 나머지 아파트들에 대해서도 매전갭, 아파트 입지 등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위 아파트에 투자하라는 의미에서 말씀드리는 것이 아니라 단순 정보 공유 차원에서 포스팅하였으니 오해 없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