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2월 미분양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어 전국 미분양 현황을 살펴본 결과 전월(23년 1월) 대비 특이사항이 있는 도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는 23년 1월 대비 2월 미분양이 증가했으며 대전의 경우 반대로 22년 12월 기점으로 줄어드는 모습입니다. 이 외 도시에서는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거나 큰 변동이 없습니다.
서울시 미분양
서울시 07년 이후 미분양 현황입니다. 차트를 보면 23년 2월에 갑자기 미분양이 확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3년 2월 기준 서울시 미분양은 2,099건입니다. 이 중 강동구의 미분양은 1,156건이며 둔촌주공 미분양이 899건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둔촌주공 소형평수(전용 49 이하)가 무순위로 풀렸고 결과는 아시는 것 처럼 완판되었습니다.
따라서 서울시의 23년 2월 미분양 현황은 아직 업데이트가 안된 것일 뿐 실제 서울은 미분양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확실히 서울이라는 도시에 대한 수요는 엄청난 것 같습니다.
대전광역시 미분양
대전광역시 아파트 미분양 현황을 보시면 22년 12월 3,239건, 23년 1월 3,025건, 23년 2월 2,698건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감소율로 보면 22년 12월 대비 23년 1월에는 미분양이 6.6% 감소하였고, 23년 1월 대비 23년 2월에는 10.8% 감소하였습니다. 미분양 감소 폭도 증가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대전광역시 구별 미분양 현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전 동구
대전 동구의 미분양 현황을 보시면 22년 12월 531건, 23년 1월 460건, 23년 2월 405건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2년 12월 대비 23년 1월은 13.37% 감소하였고, 23년 1월 대비 23년 2월은 11.95%가 감소하였습니다.
대전 서구
대전 서구의 미분양 현황을 보시면 동구와 마찬가지로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22년 12월 1,587건, 23년 1월 1,472건, 23년 2월 1,380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2년 12월 대비 23년 1월은 7.24% 감소하였고, 23년 1월 대비 23년 2월은 6.25% 감소하였습니다.
대전 유성구
대전 유성구의 미분양 현황은 22년 12월 974건, 23년 1월 870건, 23년 2월 690건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2년 12월 대비 23년 1월은 10.67% 감소하였고, 23년 1월 대비 23년 2월에는 20.68% 감소하였습니다. 대전 유성구가 가장 큰 폭으로 미분양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부동산 지인에서 대전광역시 유성구 미분양 아파트를 조회해보면 23년 2월 자료가 아직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23년 1월로 조회하셔야 하는데 조회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도안우미린트리쉐이드, 포레나대전학하1단지가 미분양 아파트로 조회되었습니다. 두 아파트를 지도에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V 표시를 한 곳이 미분양 아파트 위치입니다. 아파트 자체가 외곽에 위치해 있고 고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입지적으로 부족한 지역이다 보니 미분양이 났던 것 같은데 미분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마무리
대전광역시처럼 미분양이 줄어드는 시기에는 반드시 현장에서 나가서 임장을 해보시고, 현장의 분위기와 실제 매수심리가 어떠한지 등을 몸으로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데이터와 손품으로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현장을 나가보지 않으면 늦을 수밖에 없습니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매 제한기간 완화 발표 (4월 7일부터 시행 소급적용) (0) | 2023.04.04 |
---|---|
서울 1억 미만 갭투자 가능 아파트 정리 (1) | 2023.04.03 |
경기도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 정리 3편 (0) | 2023.03.30 |
경기도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 정리 2편 (0) | 2023.03.27 |
경기도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 정리 1편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