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들어서 거래량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는 지역들이 있으며, 언론에서도 집값 반등에 대한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저는 투자 관점에서 아직은 관망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래도 많이 하락한 아파트들 위주로 실수요자의 매수 심리가 조금씩 움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경기도 아파트 하락률을 정리하였습니다.
자료 작성 기준은 31평형~35평형 기준이며 23년 1분기에 거래된 아파트들의 최고가 대비 하락률을 집계하였고 하락률이 30%를 초과하는 아파트만 정리하였습니다. 경기도가 워낙 크기 때문에 나눠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1편에서는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고양덕양구
고양시 덕양구 신원당 3단지동신 아파트 31평형의 하락률은 45.90%입니다. 거래량은 23년에 거래된 거래량을 의미합니다. 최고가 거래는 21년 9월 28일에 거래되었으며 302동 7층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3호선 원당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전세가율은 88.6% 매전갭은 4,000만 원입니다.
지축역북한산유보라 아파트 32평형 하락률은 40.63%입니다. 23년에 2건 거래되었으며 가장 최근 거래는 23년 2월 24일에 직거래로 거래되었습니다. 3호선 지축역 인근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전세가율은 44.1%, 매전갭은 4억 2,500만 원입니다.
고양원흥동일스위트 아파트 34평형 하락률은 37.86%입니다. 23년에 14건의 거래가 있었고 가장 최근 거래는 3월 20일에 7억 3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전세가율은 50.7%이며 매전갭은 3억 6,033만 원입니다.
고양일산동구
위시티일산자이 1단지 34평형 하락률은 44.96%입니다. 23년에 3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2월 18일 5억 3,000만 원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전세가율은 70.5%이며 매전갭은 1억 5,667만 원입니다.
하늘마을주공 5단지 휴먼시아 33평형 하락률은 39.44%입니다. 23년에 9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3월 4일에 3억 8,6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전세가율은 72.2%이며 매전갭은 1억 800만 원입니다.
킨텍스원시티 M1블록 36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38.24%입니다. 23년에 1건 거래가 되었고 2월 2일에 거래되었습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47.6%이며 매전갭은 5억 5,000만 원입니다.
고양일산서구
일산동양 33평형 하락률은 38.95%이며 23년에 총 5건 거래되었습니다. 가장 최근 거래는 3월 18일에 3억 9,500만 원 거래되었습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69.7%이며 매전갭은 1억 2,167만 원입니다. 경의중앙선 일산역 2번 출구 인근에 위치해 있습니다.
유진스웰 2단지 하락률은 38.72%이며 23년에 2월 10일에 1건 거래되었고 거래가격은 4억 4,000만 원입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73.9%이며 매전갭은 1억 1,500만 원입니다.
산들마을 5단지 32평형 하락률은 38.59%이며 23년에 총 5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3월 14일에 거래되었습니다. 거래가격은 4억입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66.2%이며 매전갭은 1억 2,650만 원입니다.
과천시/광명시/광주시
과천시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 아파트 34평형 하락률은 33.60%이며 23년 거래는 총 8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3월 4일 14억 4,0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4호선 과천역 초역세권 아파트로 상당히 입지가 훌륭한 아파트입니다. 전세가율은 55%이며 매전갭은 6억 7천만 원입니다.
과천시 래미안에코팰리스 아파트 33평형 하락률은 31.67%이며 23년 거래는 총 2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2월 28일 13억 2,0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해당 아파트도 4호선 과천역 역세권 아파트이며 현재 전세가율은 50.9%, 매전갭은 6억 5,450만 원입니다. 과천은 매전갭이 상당히 큰 상황입니다.
광명시 광명역푸르지오 아파트 34~35평형 하락률은 47.11%이며 23년 거래는 총 2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35평형 2월 13일 (9억 2,500만 원), 34평형 2월 20일 (6억 3,000만 원/직거래)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34평형 직거래 거래가격이 직전 거래가 대비 상당히 낮은 금액입니다. 35평형 전세가율은 46.5%, 매전갭 4억 9,500만 원이며 34평형 전세가율은 68.9%, 매전갭은 1억 9,590만 원입니다.
34평형 직거래가 정상거래인지 의심스럽긴 합니다만, 기존 전세 5억을 승계한 갭투자로 보입니다.(전세계약 만료일 24년 11월) 1억 3천만 원으로 갭투자를 할 수만 있다면 저도 해당 아파트 매수를 하고 싶네요.
광명시 철산 13단지 주공아파트 32평형 하락률은 40%이며 23년에 총 3건이 거래되었습니다. 최근 거래는 3월 8일에 1324동 2층이 4억 9,0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직거래로 거래되었으며 직전 거래가인 8억 800에 비하면 엄청 낮은 가격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전세가율은 45.7%, 매전갭은 4억 3,425만 원입니다.
광명시 광명역파크자이 35평형 하락률은 37.54%이며 23년에 5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가는 2월 21일에 거래된 7억 5천만 원입니다. 역시 직거래로 거래되었으며 직전 거래가격인 9억 6,800만 원(2월 20일 거래)에 비하면 상당히 낮은 가격에 거래되었습니다.
1호선 광명역 초역세권 아파트이며 현재 전세가율은 70.1%, 매전갭은 2억 7,060만 원입니다. 직거래 가격에 정말 살 수 있는 것인지 임장을 가봐야겠군요.
광주시 초월 E-편한 세상 2단지 33평형 하락률은 38.66%이며 23년 2월 8일에 1건 거래되었고 거래가격은 3억 3,000만 원입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60.6%이며 매전갭은 1억 3,0000만 원입니다.
광주시 초월 E-편한 세상 1단지 32~33평형 하락률은 37.04%이며 23년에 2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가는 3월 9일에 거래된 3억5,000만 원입니다. 현재 전세가율은 85.7%이며 매전갭은 5,000만원 입니다.
광주시 초월역모아미래도파크힐스 33평~34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34.30%이며 23년에 총 5건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가격은 33평형 3월 19일에 거래된 4억 7천만 원입니다. 32평형 전세가율은 80.1%, 매전갭은 8,850만 원입니다. 34평형은 전세가율 75.1%, 매전갭은 1억 367만 원입니다.
구리/군포시
구리시 갈매역아이파크 아파트 34평형 하락률은 30.28%이며, 23년에 8건 거래되었고 최근 거래는 3월 5일에 6억 8,500에 거래되었습니다. 경춘선 갈매역 역세권 아파트로 현재 전세가율은 60.3%, 매전갭은 2억 7,800만 원입니다.
군포시 대야미이편한세상 아파트 33~34평형 하락률은 42.25%이며, 23년에 33평형은 직거래로 4억 1천만 원에 거래되었으며(2월 3일 1건), 34평형은 중거거래로 5억 5,500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1월 20일 1건). 33평형은 22년 6월, 22년 11월, 23년 2월 모두 직거래로만 거래가 되고 있네요. 23년 2월에 거래된 직거래 가격 역시 직전 직거래가격인 5억 4,500만 원에 비하면 많이 저렴한 가격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군포시 신환 아파트 29평형~31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34.54%이며 23년에 2건 거래되었습니다. 29평형은 3월 2일 3억 5,800에 거래되었고 31평형은 3월 10일 4억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31평형 전세가율은 62.5%이며 매전갭은 1억 5,000만 원, 29평형은 전세가율 89.4%, 매전갭은 3,800만 원입니다.
군포시 신환 아파트는 특이하게 최고가인 5억 7,900만 원의 평형이 31평형이 아닌 29평형입니다. 31평형 최고 거래가격은 4억 3,500만 원인 것을 보면 아무래도 최고가 거래는 올리모델링이 된 아파트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군포시 래미안하이어스 34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33.62%이며 23년에 총 4건이 거래되었고 가장 최근 거래는 2월 20일 8억 8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전세가율은 66.8%이며 매전갭은 2억 8,166만 원입니다. 현재 해당 아파트 34평형 네이버 매물 최저가는 7억 8천만 원(저층)입니다.
김포시
김포시 김포한강이랜드타운힐스 34~34평형 하락률은 44.65%이며 23년에 총 8건이 거래되었습니다. 23년에 거래된 8건은 모두 34평이며 최근 거래가는 5억 9천만 원으로 3월 12일에 거래되었습니다. 34평형 전세가율은 57.6%이며 매전갭은 2억 5,000만 원입니다. 김포골드라인 운양역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이며 청수초, 김포제일고를 도보로 이용 가능한 아파트입니다.
김포시 한강파크뷰우방아이유쉘 32~33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41.30%으로 23년에 7건 거래되었으며 최근 거래는 33평형 3월 7일 4억 7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32평형 전세가율은 56.3% 매전갭은 2억 1천만 원이며, 33평형 전세가율은 66.9%, 매전갭은 1억 5,333만 원입니다. 김포골드라인 걸포북변역 역세권으로 걸포초등학교가 바로 옆에 위치해 있습니다.
김포시 한강신도시운양 KCC스위첸 34평형 아파트 하락률은 41.28%으로 23년에 6건이 거래되었으며 최근 거래는 3월 6일 4억 4천만 원에 거래되었습니다. 34평형 전세가율은 60.6% 매전갭은 1억 7,530만 원입니다.
마무리
하락률이 30%를 초과한 아파트가 생각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지역에 평소 관심 있던 아파트가 있다면 해당 아파트의 전세가율과 매전갭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직은 투자환경이 좋지 않지만 최고가 대비 30% 넘게 하락했다는 것은 작은 폭의 하락은 아닙니다.
따라서 관심 아파트의 전세가 변동과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시면서 매매타이밍을 잡는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경기도 남양주, 동두천, 부천, 성남시 하락률을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 정리 3편 (0) | 2023.03.30 |
---|---|
경기도 아파트 최고가 대비 하락률 정리 2편 (0) | 2023.03.27 |
대전광역시 얼마나 하락했을까? (0) | 2023.03.25 |
광주광역시 대장 지역과 입지 분석 (0) | 2023.03.23 |
23년 세종시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아파트는?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