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아파트 평단가 순위
국토부 실거래가 데이터로 작성한 세종시 아파트 평균 평단가 순위입니다.
거래기간은 20년 1월~22년 12월이며 31평~35평 매매가 기준으로 작성된 자료입니다.
자료를 보시면 나성동, 새롬동, 대평동, 해밀동, 반곡동 순으로 평단가가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나성동은 건축 연도가 21년인 나릿재마을 1~6단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종시에서 건축 연도로 보면 가장 신축인 동네입니다.
새롬동은 새뜸마을1~13단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건축 연도는 2017년식으로 나성동 아파트보다는 약 4년 정도 먼저 지어진 아파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새롬동이 나성동보다 먼저 지어졌지만 상위에 랭크된 아파트를 보면 새롬동 아파트들이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나성동보다는 새롬동이 세종시 대장 동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나성동, 새롬동, 대평동 각 동별 대장 아파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op3 동별(나성동, 새롬동, 대평동) 대장 아파트
나성동의 대장아파트는 나릿재마을4단지(부원트리쉐이드리젠시) 입니다. 세대수는 528세대이며 건축 연도는 2021년, 용적률 272%, 건폐율 42%입니다. 호갱노노 기준 주차공간은 "충분" 수준입니다.
아파트 바로 앞에는 나성중학교와 나성초등학교가 위치해있어서 입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입니다. 최근 실거래가는 22년 6월 10일이며 거래가격은 10억 6천만 원입니다. 아파트 최고거래가격은 11억입니다.
새롬동의 대장아파트는 새뜸마을10단지(더샵힐스테이트) 입니다. 세대수는 1,027세대이며 2017년 식으로 7년 차 아파트입니다. 용적률은 183%, 건폐율은 16%입니다. 호갱노노 기준 주차공간은 "여유" 수준입니다.
아파트의 최고거래가는 35평 기준 12억이며 21년 9월 10일에 거래된 가격입니다. 반면 가장 최근 거래가는 23년 2월 3일에 거래된 7억 2천500만 원입니다. 해당 거래가격은 저층(2층) 임을 감안해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호갱노노 데이터 기준으로 1년 전 시세대비 30.95% 하락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대평동의 대장아파트는 해들마을1단지 아파트입니다. 세대수는 363세대이고 건축 연도는 2018년 식으로 6년 차 아파트입니다. 해당 아파트의 주차공간은 "충분"수준입니다.
해당 아파트는 지하주차장 주차분산을 위해 동별로 지하1층에 연결된 동, 지하 2층으로 연결된 동이 있습니다. 아파트 왼쪽으로는 세종 시외버스터미널이 위치해 있으며 오른쪽으로는 대평초등학교와 금호중학교가 있습니다.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대전-세종 광역철도 사업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아파트입니다.(*대전-세종 광역철도 : 대전 반석역과 세종 정부세종청사 간 14Km 구간을 대전도시철도 1호선으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정가장은 외삼역, 금남역, 세종터미널역, 나성역, 정부세종청사역 등 총 5개 역 신설 목표)
해당 아파트의 34평 최고 거래가격은 9억5천만원이였으나 계약취소를 하였고, 취소 거래를 제외한 최고 거래가격은 8억 7천만 원으로 20년 7월 29일에 거래되었습니다. 가장 최근 거래가는 6억 9천8백만 원으로
22년 4월 30일에 거래되었고, 최근 1년 매매가격 변동은 -2.69%입니다.
진정한 대장 동네 새롬동
세종시 학원가 1위는 새롬동으로 총 79개의 학원이 몰려있습니다. 2022 민주연구원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근로소득 1위가 세종시 입니다. 평균 근로소득 4,550만 원으로 2위인 서울(4,400만 원)을 이겼습니다.
이렇게 평균소득이 높으면 자연스럽게 자녀 교육에 더 많은 신경을 쓰게 됩니다. 따라서 학원가가 많이 형성되어 있는 새롬동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롬동은 상권도 잘 발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상권은 나성동이 265개로 가장많지만 새롬동 역시 228개로 많은 편입니다. 제가 세종에 투자를 하게 된다면 저는 새롬동을 1순위로 보고 투자 대상을 검토할 생각입니다.
여러분도 세종에 관심이 있으신분은 새롬동 아파트를 모니터링하시고 현장에 나가 임장을 통해 부동산 분위기와 실제 투자 대상지를 눈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아파트 상급지 분석 (0) | 2023.02.15 |
---|---|
아파트 공급 물량 제대로 이해하기 (1) | 2023.02.13 |
세종 부동산 흐름 및 전망(23.2.10 KB시계열) (0) | 2023.02.10 |
부산 부동산 흐름 및 전망 (0) | 2023.02.08 |
전국 미분양 아파트 현황 최신 (0) | 2023.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