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별 대장아파트 시세 비교 포스팅에 경남권 도시 비교를 요청하신 분이 계셔서 자료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부산과 울산은 광역시편에서 다뤘으니 경남권 도시인 창원, 김해, 진주, 양산과 인구수 기준 동일체급 도시들을 비교하였습니다.
인구수 100만 이상 비교(창원, 수원, 고양, 용인)
경남 창원시 인구가 100만이므로 인구수 기준으로 동일 체급 도시의 대장아파트 시세를 비교하였습니다.
31평형~35평형 기준이며 연도별 최고 매매거래가를 기록한 아파트의 평균 평단가를 계산하였습니다.
2010년~2023년 2월 실거래가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23년은 거래 모수가 적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수원시(119만), 고양시(107만), 용인시(107만), 창원시(101만) 순으로 인구가 많습니다. 위 시세를 보시면 하늘색이 수원시, 보라색이 고양시, 주황색이 용인시, 핑크색이 창원시입니다.
수원과 고양을 보면 10년~14년까지는 고양시의 시세가 높았으나 14년 이후로는 수원시의 시세가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수원시는 21년 대비 22년에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나 고양시는 21년 대비 22년 하락이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원과 용인시를 보면 15년까지는 용인시의 시세가 더 높았으나 15년 이후로는 수원의 시세가 크게 앞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창원을 보면 아무리 창원이 경남에서 가장 큰 도시라고해도 역시 상승장에서 유동성은 수도권에 비해 많이 부족한 모습입니다. 창원은 15년까지는 수원시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다가 16년부터는 수원과
큰 폭으로 시세가 벌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위 데이터로 봤을 때는 개인적으로 수원> 고양> 용인> 창원순으로 상급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에서 창원시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 구는 어떤 구가 있을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창원은 용인 기흥구의 시세와 가장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고양 덕양구도 유사한 흐름을 보이지만 용인 기흥구가 조금 더 흡사한 모습입니다. 수원 장안구는 창원보다는 항상 시세가 낮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창원과 유사한 인구수를 가진 도시와 비교시에는 창원의 시세가 가장 낮았으며, 창원시 흐름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 곳은 용인 기흥구였습니다. 그렇다면 김해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수 50만 이상 비교(김해, 대구 달서구, 경기도 안양)
경기도 안양시 54만, 대구광역시 달서구 53만, 김해 53만으로 세 지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트를 보시면 까만색인 김해시가 가장 시세가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안양시>대구 달서구> 김해시 순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대구 달서구와 김해시는 13년까지는 시세가 비슷하였으나 13년 이후로는 달서구의 시세가 큰 폭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김해와 인구수가 비슷한 시 또는 군 기준으로 유사한 시세를 보이는 곳은 없으며 김해시의 시세가 가장 낮은 상황입니다. 다음은 진주와 양산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수 50만 이상 비교(진주, 양산, 강원 원주시)
진주 34만, 양산 35만, 강원도 원주 36만이며 대전 유성구와 부산 부산진구도 비슷한 인구수지만 시세 차이가 너무 극명하게 차이 나기 때문에 대전 유성구와 부산진구는 제외하였습니다.
인구수가 비슷한 지방 소도시답게 흐름이 비슷한 모습입니다. 진주와 양산은 비슷한 시세를 보이고 있고, 진주가 조금 우세한 상황입니다. 원주는 세 도시 중에서 가장 낮은 시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주와 비교를 하면
21년도에 진주와 원주의 갭이 벌어지면서 진주시가 큰 상승을 하였고, 22년에 그 갭을 채우기라도 하듯 원주가 큰 폭으로 오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만약 강원도 원주의 시세가 상승하여 갭을 줄인다면 상대적으로 진주가 덜 올랐기 때문에 진주에 투자를 고려해 보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무리
인구수가 비슷한 도시라고 하여 무조건 비교군이 되는 도시일 수는 없습니다만, 이런 비교를 통해서 A라는 지역이 항상 B지역보다는 시세가 낮았다거나 아니면 시세가 비슷했구나 정도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지역 비교를 통해 특정 지역 시세의 저평가/고평가를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금액대별 거래현황 (2) | 2023.03.11 |
---|---|
집값 바닥론 vs 아직 모른다? (2) | 2023.03.07 |
광역시별 대장아파트 시세 추이 분석(31~35평형) (4) | 2023.03.05 |
세종시 아파트 50% 하락? (세종시 아파트 하락률 정리) (0) | 2023.03.04 |
세종시 아파트 진입해도 될까? (0) | 2023.03.04 |
댓글